자료흐름도(DFD)란 자료의 흐름 및 변환 과정, 기능을 도형 중심으로 기술하는 방법입니다. '자료 흐름 그래프', '버블 차트'라고도 부릅니다. 다음은 자료흐름도에서 사용하는 기본 기호 4가지 입니다.
프로세스 | 자료 흐름 | 자료 저장소 | 단말 |
처리 / 기능 / 변환 / 버블 | 자료의 이동 및 연관관계 | 파일, 데이터베이스 | 외부 개체 |
자료 사전(DD)는 자료 흐름도에 있는 자료를 더 자세히 기록한 것입니다. 일종의 메타 데이터입니다. 다음은 자료 사전에서 사용하는 기본 기호 6가지 입니다.
= | + | ( ) | [ ] | { } | * * |
정의 | 연결 | 생략 | 선택 | 반복 | 설명 |
is composed of | and | Optional | or | Iteration of | Comment |
요구사항 분석용 CASE(자동화 도구)는 요구사항을 자동으로 분석, 명세하는 도구입니다. 대표적인 요구사항 분석용 CASE에는 다음 4가지가 있습니다.
SADT | SREM (RSL/REVS) |
PSL/PSA | TAGS |
SoftTech 사에서 개발 | TRW 사에서 개발 | 미시간 대학에서 개발 |
HIPO란 입력, 처리, 출력의 기능을 표현한 것으로, 시스템의 분석, 설계, 문서화에 사용되는 기법입니다. 하향식 소프트웨어 개발에 사용되며, 기능과 자료의 의존 관계를 동시에 표현할 수 있습니다. HIPO Chart의 종류에는 다음 3가지가 있습니다.
- 가시적 도표
- 총체적 도표
- 세부적 도표
728x90
반응형
'etc.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0) | 2021.08.31 |
---|---|
UML (0) | 2021.08.30 |
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 (0) | 2021.08.30 |
★ 요구사항 정의 (0) | 2021.08.30 |
개발 기술 환경 파악 (0) | 2021.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