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구공학이란 요구사항의 정의, 분석, 관리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는 다음 4단계로 이루어집니다.
: 도출(Elicitation) - 분석(Analysis) - 명세(Specification) - 확인(Validation)
요구사항 분석 기법으로는 주로 '구조적 분석 기법'이 사용됩니다. 구조적 분석 기법은 자료의 흐름과 처리를 중심으로 요구사항을 분석합니다. 주요 구조적 분석 기법 도구는 아래와 같습니다.
- 자료 흐름도 (DFD)
- 자료 사전(DD)
- 소단위 명세서 (Mini-Spec.)
- 개체 관계도 (ERD)
- 상태 전이도 (STD)
- 제어 명세서
요구사항 명세 기법에는 다음 2가지가 있습니다.
정형 명세 기법 | 비정형 명세 기법 |
수학적 기호 | 자연어 기반 서술 / 다이어그램 |
- 정확, 간결하게 표현 가능 - 표기법이 어려움 |
- 일관성이 떨어짐 - 이해가 쉬움 |
VDM Z Petri-net CSP |
FSM Decision Table ER모델링 SADT(State Chart) |
'etc.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UML (0) | 2021.08.30 |
---|---|
요구사항 분석 도구 (0) | 2021.08.30 |
★ 요구사항 정의 (0) | 2021.08.30 |
개발 기술 환경 파악 (0) | 2021.08.30 |
현행 시스템 파악 (0) | 2021.08.30 |

요구공학이란 요구사항의 정의, 분석, 관리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는 다음 4단계로 이루어집니다.
: 도출(Elicitation) - 분석(Analysis) - 명세(Specification) - 확인(Validation)
요구사항 분석 기법으로는 주로 '구조적 분석 기법'이 사용됩니다. 구조적 분석 기법은 자료의 흐름과 처리를 중심으로 요구사항을 분석합니다. 주요 구조적 분석 기법 도구는 아래와 같습니다.
- 자료 흐름도 (DFD)
- 자료 사전(DD)
- 소단위 명세서 (Mini-Spec.)
- 개체 관계도 (ERD)
- 상태 전이도 (STD)
- 제어 명세서
요구사항 명세 기법에는 다음 2가지가 있습니다.
정형 명세 기법 | 비정형 명세 기법 |
수학적 기호 | 자연어 기반 서술 / 다이어그램 |
- 정확, 간결하게 표현 가능 - 표기법이 어려움 |
- 일관성이 떨어짐 - 이해가 쉬움 |
VDM Z Petri-net CSP |
FSM Decision Table ER모델링 SADT(State Chart) |
'etc.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UML (0) | 2021.08.30 |
---|---|
요구사항 분석 도구 (0) | 2021.08.30 |
★ 요구사항 정의 (0) | 2021.08.30 |
개발 기술 환경 파악 (0) | 2021.08.30 |
현행 시스템 파악 (0) | 2021.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