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보도 코드 (Baudot Code)

- 이진수로 만들어진 코드화된 최초의 문자표
- 1874년 전신인쇄기를 발명하면서 고안
- 5비트 코드 (32개 문자 표현)
- shift lock 기능 (shift를 누르지 않았을 땐 알파벳 모드, 눌렀을 땐 숫자 모드)
2. ASCII 코드
- 미국표준기구에서 원활한 정보 교환을 위해 정한 표준부호
- 7개의 정보 비트 + 1개의 패리티 비트 (총 8비트)
- 7개의 정보 비트로 128개의 문자 표현
- 숫자와 영문자를 모두 수용
- 우수 패리티와 기수 패리티에 의해 오류 발생 여부 알 수 있음
3. EBCDIC 코드
- 확장 이진화 10진 코드
- 8개의 정보 비트로 256개의 문자 표현
- ASCII 코드보다 더 많은 문자 지원
- '확장'의 의미 : 기존 BCD코드를 확장하였기 때문
- 대형 IBM 기종의 컴퓨터에서 찾아볼 수 있음
- 내부 기계어 코드로 사용됨
'Computer Science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송 효율 (0) | 2021.09.09 |
---|---|
전송 방법 (0) | 2021.09.09 |
컴퓨터 통신망의 프로토콜 (0) | 2021.09.08 |
데이터 통신 시스템 (0) | 2021.09.08 |
컴퓨터와 통신 (0) | 2021.09.08 |
1. 보도 코드 (Baudot Code)

- 이진수로 만들어진 코드화된 최초의 문자표
- 1874년 전신인쇄기를 발명하면서 고안
- 5비트 코드 (32개 문자 표현)
- shift lock 기능 (shift를 누르지 않았을 땐 알파벳 모드, 눌렀을 땐 숫자 모드)
2. ASCII 코드
- 미국표준기구에서 원활한 정보 교환을 위해 정한 표준부호
- 7개의 정보 비트 + 1개의 패리티 비트 (총 8비트)
- 7개의 정보 비트로 128개의 문자 표현
- 숫자와 영문자를 모두 수용
- 우수 패리티와 기수 패리티에 의해 오류 발생 여부 알 수 있음
3. EBCDIC 코드
- 확장 이진화 10진 코드
- 8개의 정보 비트로 256개의 문자 표현
- ASCII 코드보다 더 많은 문자 지원
- '확장'의 의미 : 기존 BCD코드를 확장하였기 때문
- 대형 IBM 기종의 컴퓨터에서 찾아볼 수 있음
- 내부 기계어 코드로 사용됨
'Computer Science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송 효율 (0) | 2021.09.09 |
---|---|
전송 방법 (0) | 2021.09.09 |
컴퓨터 통신망의 프로토콜 (0) | 2021.09.08 |
데이터 통신 시스템 (0) | 2021.09.08 |
컴퓨터와 통신 (0) | 2021.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