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mazon Web Service
[아마존 웹 서비스]
아마존이라 함은 해외 쇼핑몰 사이트 정도로 익히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IT 업계에선 아마존의 영향력이 생각 이상으로 큽니다. 아마존은 새로운 기술에 끊임없이 투자하는 기업으로 유명한데요. B2C 영역에선 '킨들'이, B2B 영역에선 'AWS'가 그러한 투자의 결과물이라고 보면 됩니다. 아마존이 킨들로 e북 시장을 새롭게 개척했던 것처럼 AWS는 클라우드 기술을 대중화하는 데 큰 공을 세웠습니다.
AWS는 아마존의 자회사로서, 2006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주력 제품은 클라우드 서비스입니다. AWS에서 말하는 클라우드는 '네이버 클라우드'나 '구글 드라이브'와는 조금 다른 개념인데요, 네이버 클라우드나 구글 드라이브가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AW는 '개발자'가 주요 고객입니다.
AWS는 대량의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장비를 구매해놓고 사용자에게 인프라를 대여해주는 개념입니다. 사용자는 각 장비를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게 됩니다. 그래서 AWS 서비스를 '인프라로서의 서비스(Infrasture as a Service; Iaas)'라고 부릅니다.
'etc. > IT 용어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JVM, JRE, JDK란? (0) | 2022.04.10 |
---|---|
애플릿, 서블릿, JSP란? (웹에서의 자바 기술) (0) | 2022.04.10 |
Kubernetes란? (0) | 2021.09.09 |
우분투(Ubuntu)란? (0) | 2021.08.30 |
DevOps란? (0) | 2021.08.29 |

Amazon Web Service
[아마존 웹 서비스]
아마존이라 함은 해외 쇼핑몰 사이트 정도로 익히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IT 업계에선 아마존의 영향력이 생각 이상으로 큽니다. 아마존은 새로운 기술에 끊임없이 투자하는 기업으로 유명한데요. B2C 영역에선 '킨들'이, B2B 영역에선 'AWS'가 그러한 투자의 결과물이라고 보면 됩니다. 아마존이 킨들로 e북 시장을 새롭게 개척했던 것처럼 AWS는 클라우드 기술을 대중화하는 데 큰 공을 세웠습니다.
AWS는 아마존의 자회사로서, 2006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주력 제품은 클라우드 서비스입니다. AWS에서 말하는 클라우드는 '네이버 클라우드'나 '구글 드라이브'와는 조금 다른 개념인데요, 네이버 클라우드나 구글 드라이브가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AW는 '개발자'가 주요 고객입니다.
AWS는 대량의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장비를 구매해놓고 사용자에게 인프라를 대여해주는 개념입니다. 사용자는 각 장비를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게 됩니다. 그래서 AWS 서비스를 '인프라로서의 서비스(Infrasture as a Service; Iaas)'라고 부릅니다.
'etc. > IT 용어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JVM, JRE, JDK란? (0) | 2022.04.10 |
---|---|
애플릿, 서블릿, JSP란? (웹에서의 자바 기술) (0) | 2022.04.10 |
Kubernetes란? (0) | 2021.09.09 |
우분투(Ubuntu)란? (0) | 2021.08.30 |
DevOps란? (0) | 2021.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