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 사용법
name = '홍길동'
age = 30
x = f'이름은 {name}, 나이는 {age}입니다.'
정렬
val = 'hi'
l = f'{val:<10}' # 왼쪽 정렬 (hi )
m = f'{val:^10}' # 가운데 정렬 ( hi )
r = f'{val:>10}' # 오른쪽 정렬 ( hi)
* 위 코드에서 숫자 10의 의미는 총 10칸을 차지한다는 뜻으로, 'hi' 문자열이 2칸을 채우고 나머지 8칸은 공백으로 저장됩니다.
공백 채우기
val = 'hi'
x1 = f'{val:=^10}' # 가운데 정렬하고 공백을 '='로 채우기 (====hi====)
x2 = f'{val:!>10}' # 오른쪽 정렬하고 공백을 '!'로 채우기 (!!!!!!!!hi)
소수점
n = 3.141592
x1 = f'{n:0.4f}' # 소수점 4자리까지만 표현 (3.1415)
x2 = f'{n:5.4f}' # 소수점 4자리까지만 표현 + 총 자릿수는 10자리 ( 3.1415)
'{' 또는 '}' 표기
x1 = f'{{'
x2 = f'}}'
728x90
반응형
'Language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sorted() 정렬 조건 (0) | 2022.04.22 |
---|---|
파이썬 내장 함수 (0) | 2022.04.20 |
파이썬의 자료형 - 딕셔너리 (0) | 2022.04.19 |
파이썬의 자료형 - 튜플 (0) | 2022.04.19 |
파이썬의 자료형 - 집합 (0) | 2022.04.19 |

기본 사용법
name = '홍길동' age = 30 x = f'이름은 {name}, 나이는 {age}입니다.'
정렬
val = 'hi' l = f'{val:<10}' # 왼쪽 정렬 (hi ) m = f'{val:^10}' # 가운데 정렬 ( hi ) r = f'{val:>10}' # 오른쪽 정렬 ( hi)
* 위 코드에서 숫자 10의 의미는 총 10칸을 차지한다는 뜻으로, 'hi' 문자열이 2칸을 채우고 나머지 8칸은 공백으로 저장됩니다.
공백 채우기
val = 'hi' x1 = f'{val:=^10}' # 가운데 정렬하고 공백을 '='로 채우기 (====hi====) x2 = f'{val:!>10}' # 오른쪽 정렬하고 공백을 '!'로 채우기 (!!!!!!!!hi)
소수점
n = 3.141592 x1 = f'{n:0.4f}' # 소수점 4자리까지만 표현 (3.1415) x2 = f'{n:5.4f}' # 소수점 4자리까지만 표현 + 총 자릿수는 10자리 ( 3.1415)
'{' 또는 '}' 표기
x1 = f'{{' x2 = f'}}'
728x90
반응형
'Language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sorted() 정렬 조건 (0) | 2022.04.22 |
---|---|
파이썬 내장 함수 (0) | 2022.04.20 |
파이썬의 자료형 - 딕셔너리 (0) | 2022.04.19 |
파이썬의 자료형 - 튜플 (0) | 2022.04.19 |
파이썬의 자료형 - 집합 (0) | 2022.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