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SI 참조 모델
역할 | 표준 | 관련 장비 | |
물리 계층 ★ |
- 실제 접속 담당 | RS-232C, X.21 | 리피터, 허브 |
데이터 링크 계층 |
- 링크의 설정 담당 - 프레임 동기화 |
HDLC, LAPB, LLC, MAC, LAPD, PPP | 랜카드, 브리지, 스위치 |
네트워크 계층 |
- 경로 설정 - 데이터 교환 및 중계 - 트래픽 제어 |
X.25, IP | 라우터 |
전송 계층 |
- 하위 3계층과 상위 3계층의 인터페이스 - 종단 시스템 간 전송 연결 설정 |
TCP, UDP | 게이트웨이 |
세션 계층 |
- 대화 제어 - 동기점을 이용한 데이터 복구 |
||
표현 계층 |
- 코드 변환 - 암호화 - 압축 |
||
응용 계층 |
- 사용자가 OSI 환경에 접근할 수 있게 함 |
TCP/IP
TCP/IP란 서로 다른 기종의 컴퓨터들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프로토콜이란 통신 규약으로서 어원은 '기술적 은어'입니다. 프로토콜의 기본 요소★ 3가지에는 구문(Syntax), 의미(Semantics), 시간(Timing)이 있습니다.
TCP/IP의 구조
OSI | TCP/IP | 기능 |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 실제 데이터를 송수신 |
네트워크 계층 | 인터넷 계층 | 주소 지정, 경로 설정 |
전송 계층 | 전송 계층 | 호스트 간 통신 |
세션 계층 표현 계층 응용 계층 |
응용 계층 | 응용 프로그램 간 통신 |
주요 프로토콜들의 기능
구분 | 주요 프로토콜 | 기능 |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
Ethernet (IEEE 802.3) | - CSMA/CD 방식의 LAN |
IEEE 802 | - LAN | |
HDLC | - 비트 위주의 데이터 링크 제어 | |
X.25 | - 패킷 교환망을 통한 DTE와 DCE 간 인터페이스 | |
RS-232C | - 공중 전화 교환망을 통한 DTE와 DCE 간 인터페이스 | |
인터넷 계층 |
IP | - 주소 지정 - 경로 설정 - 비연결형인 데이터그램 방식 사용 - 비신뢰성 |
★ ICMP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
- IP와 함께 오류 처리와 제어 메시지를 관리 - 헤더는 8Byte |
|
IGMP 인터넷 그룹 관리 프로토콜 |
- 멀티캐스트 그룹 유지 | |
ARP 주소 분석 프로토콜 |
- IP 주소를 MAC 주소로 바꿈 | |
★ RARP | - MAC 주소를 IP 주소로 바꿈 | |
전송 계층 |
TCP | - 양방향 연결 - 가상 회선 연결 형태 - 스트림 위주의 전달(패킷 단위) - 신뢰성 - 헤더는 기본 20~60Byte |
UDP | - 비연결형 - 단순한 헤더 구조 → 오버헤드 적고 속도 빠름 - 비신뢰성 |
|
RTCP | - RTP 패킷의 전송 품질 제어 - 세션에 참여한 각 참여자들에게 주기적으로 제어 정보 전송 - 항상 32비트의 경계로 끝남 |
|
응용 계층 |
FTP | - 원격 파일 전송 |
SMTP | - 전자 우편 | |
TELENET | - 멀리 떨어진 컴퓨터를 자신의 컴퓨터처럼 사용 | |
SNMP | - TCP/IP의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 - 네트워크 기기의 정보를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보냄 |
|
DNS | - 도메인 네임을 IP 주소로 바꿈 | |
HTTP | - 월드 와이드 웹에서 HTML 문서 송수신 |
네트워크 관련 장비
장비 | 설명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 - 컴퓨터-컴퓨터 또는 컴퓨터-네트워크를 연결 - 같은 말 : NIC, 이더넷 카드, LAN 카드, 네트워크 어댑터 |
허브 | - 가까운 거리의 회선을 통합하여 관리 - 종류 : 더미 허브 / 스위칭 허브 - 허브 ⊃ 리피터 |
리피터 | - 신호 증폭기 |
브리지 | - LAN-LAN 또는 LAN 안에서 컴퓨터 그룹을 연결 - 리피터 + '네트워크 분할을 통한 트래픽 감소 기능' - 브리지 ⊃ 리피터 - 브리지가 n개일 때, 회선 수는 n각형을 모두 이은 선분 개수 |
스위치 | - LAN-LAN 연결 - 하드웨어 기반으로 처리하여 속도가 빠름 |
라우터 | - LAN-LAN 연결 + 데이터 전송의 최적 경로 선택 기능 |
게이트웨이 | - 구조가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 |
스위치의 분류
L2 스위치 | L3 스위치 | L4 스위치 | L7 스위치 |
OSI의 2계층에 속함 |
OSI의 3계층에 속함 |
OSI의 4계층에 속함 |
OSI의 7계층에 속함 |
MAC 주소 기반 |
IP 주소 기반 |
IP 주소 & TCP/UDP 기반 |
IP 주소 & TCP/UDP + 패킷 내용 기반 |
일반적 의미의 스위치 동일 네트워크 간 연결만 가능 |
L2 스위치 + 라우터 다른 네트워크 간 연결 가능 주로 백본 스위치 역할 |
L3 스위치 + 로드밸런서 |
※ 백본이란 네트워크들을 연결할 때 중추적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를 일컫는 말로, 백본 스위치는 모든 패킷이 지나가는 네트워크의 중심에 배치됩니다.
스위칭 방식
Store and Forwarding | Cut-through | Fragment Free |
데이터를 모두 받은 후 스위칭하는 방식 | 목적지 주소만 확인 후 바로 스위칭하는 방식 | 앞 두 방식을 결합한 방식 |
Hierarchical 3 Layer 모델
액세스 계층 | 디스트리뷰션 계층 | 코어 계층 (백본 계층) |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최초로 연결되는 지점 |
액세스 계층의 장치들이 연결되는 지점 | 디스트리뷰션 계층에서 오는 통신을 집약해 인터넷에 연결하는 계층 |
장비 성능은 낮아도 되지만, 포트 수는 사용자수 만큼 있어야 함 | LAN 간에 라우팅 기능을 수행 | 전자우편, 인터넷 접속 등의 기능 수행 |
L2 스위치 사용 | L3 스위치, 라우터 사용 | 백본 스위치 사용 |
728x90
반응형
'etc.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경로 제어 / 트래픽 제어 (0) | 2021.09.30 |
---|---|
★ 네트워크 구축 (0) | 2021.09.30 |
★★ 인터넷 (0) | 2021.09.29 |
★ 운영체제 기본 명령어 (0) | 2021.09.29 |
환경 변수 (0) | 2021.09.29 |

OSI 참조 모델
역할 | 표준 | 관련 장비 | |
물리 계층 ★ |
- 실제 접속 담당 | RS-232C, X.21 | 리피터, 허브 |
데이터 링크 계층 |
- 링크의 설정 담당 - 프레임 동기화 |
HDLC, LAPB, LLC, MAC, LAPD, PPP | 랜카드, 브리지, 스위치 |
네트워크 계층 |
- 경로 설정 - 데이터 교환 및 중계 - 트래픽 제어 |
X.25, IP | 라우터 |
전송 계층 |
- 하위 3계층과 상위 3계층의 인터페이스 - 종단 시스템 간 전송 연결 설정 |
TCP, UDP | 게이트웨이 |
세션 계층 |
- 대화 제어 - 동기점을 이용한 데이터 복구 |
||
표현 계층 |
- 코드 변환 - 암호화 - 압축 |
||
응용 계층 |
- 사용자가 OSI 환경에 접근할 수 있게 함 |
TCP/IP
TCP/IP란 서로 다른 기종의 컴퓨터들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프로토콜이란 통신 규약으로서 어원은 '기술적 은어'입니다. 프로토콜의 기본 요소★ 3가지에는 구문(Syntax), 의미(Semantics), 시간(Timing)이 있습니다.
TCP/IP의 구조
OSI | TCP/IP | 기능 |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 실제 데이터를 송수신 |
네트워크 계층 | 인터넷 계층 | 주소 지정, 경로 설정 |
전송 계층 | 전송 계층 | 호스트 간 통신 |
세션 계층 표현 계층 응용 계층 |
응용 계층 | 응용 프로그램 간 통신 |
주요 프로토콜들의 기능
구분 | 주요 프로토콜 | 기능 |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
Ethernet (IEEE 802.3) | - CSMA/CD 방식의 LAN |
IEEE 802 | - LAN | |
HDLC | - 비트 위주의 데이터 링크 제어 | |
X.25 | - 패킷 교환망을 통한 DTE와 DCE 간 인터페이스 | |
RS-232C | - 공중 전화 교환망을 통한 DTE와 DCE 간 인터페이스 | |
인터넷 계층 |
IP | - 주소 지정 - 경로 설정 - 비연결형인 데이터그램 방식 사용 - 비신뢰성 |
★ ICMP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
- IP와 함께 오류 처리와 제어 메시지를 관리 - 헤더는 8Byte |
|
IGMP 인터넷 그룹 관리 프로토콜 |
- 멀티캐스트 그룹 유지 | |
ARP 주소 분석 프로토콜 |
- IP 주소를 MAC 주소로 바꿈 | |
★ RARP | - MAC 주소를 IP 주소로 바꿈 | |
전송 계층 |
TCP | - 양방향 연결 - 가상 회선 연결 형태 - 스트림 위주의 전달(패킷 단위) - 신뢰성 - 헤더는 기본 20~60Byte |
UDP | - 비연결형 - 단순한 헤더 구조 → 오버헤드 적고 속도 빠름 - 비신뢰성 |
|
RTCP | - RTP 패킷의 전송 품질 제어 - 세션에 참여한 각 참여자들에게 주기적으로 제어 정보 전송 - 항상 32비트의 경계로 끝남 |
|
응용 계층 |
FTP | - 원격 파일 전송 |
SMTP | - 전자 우편 | |
TELENET | - 멀리 떨어진 컴퓨터를 자신의 컴퓨터처럼 사용 | |
SNMP | - TCP/IP의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 - 네트워크 기기의 정보를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보냄 |
|
DNS | - 도메인 네임을 IP 주소로 바꿈 | |
HTTP | - 월드 와이드 웹에서 HTML 문서 송수신 |
네트워크 관련 장비
장비 | 설명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 - 컴퓨터-컴퓨터 또는 컴퓨터-네트워크를 연결 - 같은 말 : NIC, 이더넷 카드, LAN 카드, 네트워크 어댑터 |
허브 | - 가까운 거리의 회선을 통합하여 관리 - 종류 : 더미 허브 / 스위칭 허브 - 허브 ⊃ 리피터 |
리피터 | - 신호 증폭기 |
브리지 | - LAN-LAN 또는 LAN 안에서 컴퓨터 그룹을 연결 - 리피터 + '네트워크 분할을 통한 트래픽 감소 기능' - 브리지 ⊃ 리피터 - 브리지가 n개일 때, 회선 수는 n각형을 모두 이은 선분 개수 |
스위치 | - LAN-LAN 연결 - 하드웨어 기반으로 처리하여 속도가 빠름 |
라우터 | - LAN-LAN 연결 + 데이터 전송의 최적 경로 선택 기능 |
게이트웨이 | - 구조가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 |
스위치의 분류
L2 스위치 | L3 스위치 | L4 스위치 | L7 스위치 |
OSI의 2계층에 속함 |
OSI의 3계층에 속함 |
OSI의 4계층에 속함 |
OSI의 7계층에 속함 |
MAC 주소 기반 |
IP 주소 기반 |
IP 주소 & TCP/UDP 기반 |
IP 주소 & TCP/UDP + 패킷 내용 기반 |
일반적 의미의 스위치 동일 네트워크 간 연결만 가능 |
L2 스위치 + 라우터 다른 네트워크 간 연결 가능 주로 백본 스위치 역할 |
L3 스위치 + 로드밸런서 |
※ 백본이란 네트워크들을 연결할 때 중추적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를 일컫는 말로, 백본 스위치는 모든 패킷이 지나가는 네트워크의 중심에 배치됩니다.
스위칭 방식
Store and Forwarding | Cut-through | Fragment Free |
데이터를 모두 받은 후 스위칭하는 방식 | 목적지 주소만 확인 후 바로 스위칭하는 방식 | 앞 두 방식을 결합한 방식 |
Hierarchical 3 Layer 모델
액세스 계층 | 디스트리뷰션 계층 | 코어 계층 (백본 계층) |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최초로 연결되는 지점 |
액세스 계층의 장치들이 연결되는 지점 | 디스트리뷰션 계층에서 오는 통신을 집약해 인터넷에 연결하는 계층 |
장비 성능은 낮아도 되지만, 포트 수는 사용자수 만큼 있어야 함 | LAN 간에 라우팅 기능을 수행 | 전자우편, 인터넷 접속 등의 기능 수행 |
L2 스위치 사용 | L3 스위치, 라우터 사용 | 백본 스위치 사용 |
728x90
반응형
'etc.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경로 제어 / 트래픽 제어 (0) | 2021.09.30 |
---|---|
★ 네트워크 구축 (0) | 2021.09.30 |
★★ 인터넷 (0) | 2021.09.29 |
★ 운영체제 기본 명령어 (0) | 2021.09.29 |
환경 변수 (0) | 2021.09.29 |